본문 바로가기
킨볼

킨볼 경기를 위한 체력 측정과 평가 기준

by kr24 2025. 5. 21.

킨볼(Kin-Ball)은 세 팀이 동시에 경기에 참여하며, 민첩성, 협응력, 순발력 등 다양한 신체 능력이 요구되는 팀 스포츠입니다. 효과적인 훈련을 위해서는 현재 체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킨볼 선수와 동호인 모두에게 유용한 체력 측정 항목과 평가 기준을 소개합니다.

1. 유연성 측정

킨볼은 공을 받기 위해 갑작스럽게 몸을 낮추거나 방향을 바꾸는 동작이 많아 유연성이 중요합니다.

  • 측정 항목: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 평가 기준: 손끝이 발끝보다 5cm 이상 지나가면 양호
  • 추천 빈도: 주 1회 테스트로 스트레칭 효과 확인

2. 순발력 측정

빠른 반응과 움직임이 필요한 킨볼에서는 순발력이 경기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측정 항목: 제자리에서 멀리뛰기
  • 평가 기준: 남성 평균 200~220cm, 여성 평균 160~180cm
  • 활용 팁: 팀원 간 비교로 개인 훈련 우선순위 설정 가능

3. 심폐지구력 측정

킨볼은 경기 시간 동안 지속적인 움직임을 요구하므로 심폐 기능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 측정 항목: 20m 왕복 오래 달리기(셔틀 런)
  • 평가 기준: 남성 40회 이상, 여성 30회 이상이면 우수
  • 훈련 연계: 기록 감소 시 인터벌 트레이닝 도입 권장

4. 근지구력 측정

공을 지속적으로 들거나 던지는 동안 유지되는 근육의 지구력도 중요합니다.

  • 측정 항목: 팔굽혀 펴기, 스쿼트 반복 횟수 측정
  • 평가 기준: 1분간 30회 이상이면 평균 이상
  • 활용 방법: 개인별 피로 누적도 파악 가능

5. 민첩성 및 협응력 평가

킨볼은 다수의 팀원과 함께 움직이는 스포츠로, 몸의 협응력과 민첩성도 큰 역할을 합니다.

  • 측정 항목: 일자 코스 빠르게 왕복하기, 라인 터치
  • 평가 기준: 지정 시간 내 5회 이상 완료 시 양호
  • 평가 방식: 타이머 사용 및 동영상 촬영으로 기록 보관

결론

체계적인 체력 측정은 자신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개인별 훈련 계획을 세우는 기초가 됩니다. 킨볼은 단순한 움직임이 아닌, 다양한 체력 요소의 복합적인 활용이 필요한 스포츠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주기적인 측정을 진행하면 경기력 향상은 물론 부상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